선어말 어미 ‘-더 -’의 의미에대하여

2017-10-20 07:36李银星吉林工程技术师范学院
韩国语教学与研究 2017年4期
关键词:师范学院工程技术吉林

| 李银星 | 吉林工程技术师范学院|

1.서론

본고는 선어말 어미 ‘- 더- ’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어말 어미 ‘-더 -’가포함된 구성들을 살펴보고 그 구성에서 선어말 어미 ‘-더 -’에 대해 분석이 가능한지를살펴본 후에 각 구성에 나타나는 ‘-더 -’의의미를 통시와 공시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기술하고자 한다 . ‘-더 라’와 ‘-던 ’의 ‘-더 -’에 대해 동일한 의미를 제시한 논의와 별개의의미를 제시한 논의가 있었는데 본고에서는이들이 별개의 의미를 가지지만 다의 관계에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2. ‘-더 - ’의 연구 대상 어미 구성

‘- 더- ’가 포함된 어미 구성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더라, -더 구나, -더 구먼, -더 구려, -더 군, -데 ,- 더냐, -던 ( 의문형 어미 구성) ,-던 가, - 던지,-던 걸, -습 디다, -습 디까, -던 데, -더 니, -더니마는, -더 니만, -던 (관 형사형 어미 구성 ),-더라고 ,-더 라며, -더 라도 ,-더 라면 ,-더라면서

이 구성들에서 ‘- 더라고 ,-더 라며, -더라면서 ’등과 같이 통시적으로 인용과 관련된구성은 분석에 문제가 있어서 일단 제외한다.이 구성들은 대개 과거의 의미를 표현하지만예외적으로 ‘-더 라도’가 과거뿐만 아니라 미래의 일에 대한 가정에도 사용된다.

또한 ‘-더 라’와 ‘도’로 분석 할 경우에는‘도’의 일반적인 결합 양상과 다르다는 점이문제가 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더 라도’도제외한다.

☞ ‘-더 라 ’구성

중세국어 선어말 어미 ‘-더 -’에 종결어미‘- 다’가 연결되면 종결어미 ‘- 다’는 ‘- 라’로교체된다 .그러므로 ‘-라 ’는 기능상 ‘-다 ’의이형태로 보는 것이 적절한데 다른 구성의 종결어미 ‘-다 ’와 다른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다만 ‘-더 ’ -와 ‘-라 ’ 사이에 다른 선어말 어미가나타나지 않는 것이 문제가 될 수는 있지만 이를 근거로 이들을 분석하지 않거나 ‘-라’를다른 종결어미로 파악할 필요는 없다.

이 구성에서 과거 지각이나 과거의 인식은공통적이며 이른바 비동일 주어 제약도 공통적이다 .또한 과거 시점에서의 미래에 대한인식도 표현한다.

(2)가. ?내 가 학교에 가더라.

나 .철수가 내일 미국에 가더라.

위 구성에서는 평서문에서 주어가 화자와동일할 경우에 어색한 것이 확인된다.이러한특성을 고려하여 이 구성에 나타나는 ‘-더-’의 의미를 기술하면 결국 화자가 의미 기술에포함되어야 한다.

☞ ‘-더 냐 ’구성

‘-더 냐’ 구성에서도 과거 지각이나 과거의인식은 공통적이며 이른바 비동일 주어 제약도 공통적이다 .또한 과거 시점에서의 미래에대한 인식도 표현한다.

(3)가 .?내 가 학교에 가더냐.나 .철수가 내일 미국에 가더냐.

☞ ‘-데 ’구성

‘- 데’ 구 성은 ‘-더 라’ 구 성이나 ‘- 더냐’ 구성과는 달리 형용사와 동사의 차이가 없이 과거와 대립하는 현재의 구성을 보여 준다.이들 구성에서도 과거 지각이나 과거의 인식은공통적이며 이른바 비동일 주어 제약도 공통적이다 .또한 과거 시점에서의 미래에 대한인식도 표현한다.

(4)가 .?내 가 집에 가데.

나 .철수가 내일 미국에 가데.

☞ ‘-더 니 ’구성

이 구성에서도 과거 지각이나 과거의 인식은 공통적이며 이른바 비동일 주어 제약도 공통적이다 .그러나 과거 시점에서의 미래에 대한 인식을 표현하지 못한다 .또한 비동일 주어 제약에 대해서도 ‘-엇 -’이 결합한 ‘-엇더니’의 경우는 ‘-더 니’와는 다른 특성을 보여준다.

(5)가. ?내 가 밥을 먹더니 배가 부르더라.

나 .?철수가 내일 학교에 가더니 공부를한다.

다 .내가 도착했더니 교실에는 아무도 없었다.

라. ?철수가 학교에 도착했더니 교실에는아무도 없었다.

비동일 주어 제약을 주목한다면 ‘-더 니’와‘-었 더니’는 서로 다른 구성이라고 분석되어야할 것이다. 어떤 점에서는 상보적인 분포를 하는 것처럼 보인다. 다른 구성의 ‘-더 - ’와 의미가 관련되기 때문에 분석하는 것은 가능하다 . 적어도 ‘-더 니’나 ‘-었 더니’의 경우 ‘과거’의 의미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 특히 ‘-더 니’의 경우에는 화자의 경험 ,인식이 포함된다.

☞ ‘-던 ’구성

이 구성은 ‘-더 라’와 가장 다른 구성이다.

(6)가. 내가 먹던 밥.

나 .?내 일 출발하던 철수.

다 .일을 하던 사람들도 멈추겠지.

위 예문에서 알 수 있듯이 ‘- 던’ 구성은 비동일 주어 제약을 보이지 않으며 과거 시점에서의 미래의 일에 대한 인식을 표현하지 않는다 .또한 주절의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이나 동시를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 특성은 다른 구성과는 매우 다르다 . 하여 ‘-던 ’구성의 ‘-더 -’가 ‘-더 라’의 ‘-더 ’와 같다는논의와 서로 다르다는 논의로 입장이 갈리게된다.

3.‘- 더 -’의 의미 해석

국어에서 시제체계가 연구되면서 가장 많이의논되어 왔고 의견이 분분한 것이 ‘-더 -’이다 .‘회 상 ’,‘과 거완료 ’,‘보 고 ’,‘단 절 ’등의 수많은 의미에 대한 논의들은 주로 주의미와 부차적 의미로 논의되었다 . 이 중 ‘회 상’에 대한논의가 가장 많은데 최현배( 1987)는 ‘-더 -’를 ‘도로생각때매김’이라 하여 시제의 범주로처리하면서도 시상의 의미가 더 강하다고 하였고 , 고영근 (1981)은 “화자가 말하고 있는그 때보다 앞선 시점에서 경험한 주체의 동작및 성질 ,상태 등을 회상하여 상대방에게 단순히 설명하거나 화자가 경험한 내용을 상대방으로 하여금 회상시킴으로써 주체의 성질,상태 등을 단순히 물을 때에 쓰이는 것”이라하여 ‘-더 -’의 기본적 의미를 회상으로 보고서법의 하나인 회상법으로 보고 있다.김석득(1974)은 ‘지 난적 시간성을 갖는 화자의 회상’으 로 , 김영희 (1981)에서는 서법과 더불어‘회 상’이란 속뜻 표시의 화용론적 기능에 주목하여 논의하고 있다.

선어말 어미 ‘-더 -’를 ‘과 거미완’의 의미로보는 논의는 이희승 (1957)으 로 ‘행동이 지나간 과거의 일인 동시에 아직 미진한 것이고미완’이므로 선어말 어미 ‘-더 -’를 ‘과 거미완’이라 하였다 . 이숭녕 (1984)은 ‘-더 -’를 직설법에서 ‘지난적 나아감’을 보이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 이익섭 (1978)은 ‘-더 -’를 “말하는 사람이 ‘-더 -’앞에 쓰이는 문장의 상황을 확인한 때를 기준시”로 하는 상대시제로파악했으며, 이남순( 1981)은 ‘이 때- 이 곳’과 대립되는 ‘그때 -그 곳’으로 시간의 문제와 함께공간의 문제가 ‘-더 -’에 포함될 수 있다고보았다.

‘보 고’의 기능을 가졌다고 파악한 것은 손호민 (1975) 은 선어말 어미 ‘- 더 -’를 ‘과 거’,‘지 각 ’,‘보 고자’가 의미단위가 되는 것으로 파악하였고 , 서정수 (1977)는 보고적인 기능이주요한 기능이므로 서법의 하나인 ‘보 고법’을표시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고도 하였다.

본고에서 모든 발화는 흐르는 시간 위에 어떤 동작 ,상황의 분포 ,사건 등이 자리하는것이므로 이들 선어말 어미의 기본 의미를 살피고 더 나아가 그 부차적 의미를 살피고자한다 .본고에서는 ‘-더 -’를 어떤 한 기본 의미에서 파생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를 취할 것이다 . ‘-더 -’의 다양한 분포에서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의미는 발화에 있어서발화시 이전에 반드시 ‘인 식’한 상황을 표면화시켜야 하고 또한 그 상황은 실현되어 있어야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더 -’의 시제를 ‘과거’로 하였고 이것이 다시 발화의 상태로 나올 때에는 당연히 과거의 사실이므로 회상적인 성질을 가지게 된다 . 따라서 ‘회 상’의 의미가 잉여자질이 된다 .또한 청자와의 관계로살필 때에는 청자에게 ‘보 고’하는 의미가 주어지므로 ‘보 고’의 의미도 부여된다 .그러나 그것도 또한 잉여자질이라 할 수 있다.그 중가장 중요한 것은 과거에 일어난 사건 혹은상태를 인식한 시간을 객관화하는 화자의 태도이다.

선어말 어미 ‘-더 -’의 의미는 대체로 ‘과거 ’,‘회 상 ’,‘인 식 ’,‘미 완료’로 알려져 왔다.

(7)가. 나는 김치찌개가 좋더라.

나 .윤정이가 교무실로 가더라.

(8)가. 나는 굉장히 아팠더라.

나 .윤정이가 운동장으로 갔더라.

다 .승희가 점심을 먹었더라.

(7) 의 ( 가)에서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은 ‘나는 김치찌개가 좋다’라는 상황(혹은사실)인데 화자는 이미 전에 ‘김치찌개가 좋다’는 것을 인식하였고,(나) 는 ‘윤정이가 교무실로 간다’라는 상황인데 화자는 이미 ‘윤정이가 교무실에 간다’는 상황을 직접 경험 혹은간접 경험을 통하여 인식한 것이다.또한(가 ) 의 경우 ‘나 는 김치찌개가 좋다’라는 것이어느 한 순간에 결정된 것이 아니다.자신이김치찌개를 좋아하는 것을 순간 깨닫고 자신을 돌아보니 자신이 ‘김치찌개를 좋아한다’라는 것을 알고 그 상황을 객관화시켜 즉,나자신에게 벗어나 나를 바라본 상태에서 청자에게 전달한 것이다 . 따라서 (8)의 (가 )의 경우도 나 자신을 객관화시켜 인식한 상황이라본다 .자신을 객관화시켜 자신에게서 떨어져자신을 바라볼 때 가능한 표현이다.(8)의( 가 ) 경우 ‘나 는 굉장히 아팠다’라는 상황은과거에 완료된 사건으로 현재까지 지속될 수없기 때문에 비문으로 처리하기도 하였지만이 상황도 일상 언어생활에서 가능한 표현이다 .화자가 혼수상태 혹은 가벼운 병으로 앓고 있었던 상황에서 남에게 자신의 이야기를듣고 ‘인 식’한 상황을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할 때는 가능한 표현이기 때문이다.

(8)의 (가 )에 서 ‘나 는 굉장히 아팠더라’라는 상황은 일상생활에서 담화문으로 쓰이고있는 문장이다 .이들 문장에서 ‘-더 -’의 사용은 과거의 어떤 상황이나 사건이 이미 완료되었음을 나타낸다 .( 가 ),(나 )는 ‘윤정이가 운동장에 갔다’와 ‘승 희는 점심을 먹었다’라는‘실현’된 상황을 ‘과거’에 ‘인식’하고 그 상황이 현재까지 기억에 내재화되어 있다가 담화시 잉여 자질인 ‘회 상’의 장치를 통해 발화한것이다.

(9)가 .내가 혼자 사과를 먹더라.

나 .내가 혼자 사과를 먹었더라.

(9) 의 ( 가 )에서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나는 혼자 사과를 먹다’라는 상황이다.( 나) 또한 ‘나 는 혼자 사과를 먹었다’라는 상황이다 .이를 이익섭 (1978)은 상재시제 (사건중심)로 ‘현재’를 나타낸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화자에게 인식된 사실에 초점을 맞추고 보면 발화된 사실들은 인식을 중심으로 과거에실현된 사건 혹은 상황의 인식된 사실들이다.따라서 이들의 시제를 ‘과 거’로 볼 수 있다.또한 인식된 사실이 인식을 중심으로 끝난 것이므로 상을 ‘완 료 ’,나를 벗어나 객관화시켜발화해야 하므로 ‘객 관화’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주된 범주는 시제이며 시제를 도와화자의 주관적인 양태 및 상이 부수적으로 나타난다.

통시적 관점에서 ‘-더 -’의 의미 기능을 살펴보면 ‘-더 -’는 중세국어 시기부터 과거 시제를 나타냈고 근대국어 시기에 접어들면서‘-엇 -’의 출현으로 그 속성이 점차 변화하여현대국어 시기에 이르러서는 다른 범주,서법범주를 드러낸 것으로 바뀌었다.

예문 (10) 의 ‘- 더- ’는 주로 과거시제만을나타낸다 .그러나 점차 ‘-더 -’가 단순과거의기능을 떠나 담화 상황에 쓰이면서 서법적 기능 즉 ‘과 거 인식 ’,‘회 상’의 의미로 기능이 변화된다 . 이렇게 ‘-더 -’가 기능 변화를 겪으면서 ‘-더 -’가 맡았던 과거시제의 기능은 근대국어에 형성된 ‘-엇 -’이 담당하게 된다 .중세국어에서부터 이어온 ‘-더 -’의 기능 때문에‘과거’로 서의 기능과 ‘과 거인식’으로서의 기능이 함께 나타나지만 ‘-다 -’가 ‘-엇 -’과 결합하고 있는 경우에는 ‘-더 -’에서 과거시제의기능을 발견해 낼 수 없다 .다만 ‘과 거인식’의의미 기능만을 한다.

위의 예문의 선어말 어미 ‘- 엇더 -’의 의미기능은 각각 독자적인 의미 령역을 가진다.즉 ‘-엇 -’은 ‘사 건의 과거성’만 을 지시하고,‘- 더- ’는 그러한 과거의 사건이 화자에게 경험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따라서‘-엇 -’으로 표현된 사건의 과거성은 일반적인 사건 자체의 과거 ,즉 그것이 화자에게 일어난 일이든 다른 제 3자에게 일어난 일이든그런 것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사건의 과거성’만 나타낸다 . 그러나 ‘-더 -’는 과거의 인식을 나타내는 인식의 문제이기 때문에 하자와 관련을 맺는다 .이러한 면에서 부차적인의미인 회상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즉 ‘-엇 -’은 ‘-엇 -’앞까지의 진술이 과거적인 사건임을 나타내면 , ‘-더 -’는 ‘-엇 -’에의해 과거적 사건으로 받아들여진 것을 화자가 인식하여 현재에 전해주는 것이다.

‘-더 -’의 의미들은 과거라는 점에서 공통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 공통된 의미를 중심의미로 볼 수 있다 .‘과 거’라는 의미가 과거의화자의 인식이라는 의미로 의미가 축소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과거의 화자의 인식을발화시에 재인식하는 것에서 현재에서의 과거에 대한 인식을 위한 노력 ,즉 회상의 의미가발전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통시적인 과정을 고려한다면 ‘과 거’의 의미를 중심 의미로기술해야 할 것이다.

4.결론

지금까지 본고에서는 선어말 어미 ‘-더-’의 의미를 분석했다 .선어말 어미 ‘-더 -’는‘어떤 실현된 사건이나 상황을 인식하고 그인식이 완료로 내재화되었다가 발화시 객관화및 회상의 장치를 통해 표현된다 .중세국어에서 주로 ‘과 거’의 기능을 하던 ‘-더 -’는 근대에 들어오면서 ‘과 거인식 ’,‘회 상’의 서법 양상으로 변하였고 이러한 변화와 함께 ‘과거’는당시에 새로이 형성된 선어말 어미 ‘-엇 -’이담당하게 되었다 .‘-더 -’는 과거 사실에 대한화자의 ‘과거인식’을 나타내며 ,이러한 과거인식이 담화 상황을 통해 나타날 때는 ‘회상’이라든지 ,‘보 고’라는 부차적인 의미도 가지게된다.

참고문헌

[1]고영근,『중세국어의 시상과 서법』,서울:탑출판사,1981.

[2]김석득,「한국어의 시간과 시상」,『한불연구』 1집 , 연세대학교,1974.

[3]김영희,「회상문의 인칭제약과 책임성」,『국어학 10』,1981.

[4]서정수,「‘더’는 회상의 기능을 지니는가?종결법과 인용법의 ‘더’를 중심으로」,『언어2-1』, 한국언어학회,1977.

[5]이남순,「현대국어의 시제와 상에 대한 연구」,『국어연구 46』 ,서울대학교,1981.

[6]이숭녕,『중세국어문법』 , 서울 : 을유문화사,1984.

[7]이승욱,『국어문법체계의 사적연구』,서울:일조각,1973.

[8]이옥기,「중세국어 시제표현 선어말어미 연구 ―선어말어미 ‘-- ’, ‘-더 -’, ‘-리 -’를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93.

[9]이익섭,「상대시제에 대하여」,『관악어문연구 3』,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1978.

[10]이재성,「선어말 어미 ‘-더 - ’의 문법 기능에 대한 연구」,『우리말연구 26』,우리말학회,2014.

[11]이홍식,「선어말 어미 ‘-더 - ’의 의미에 대하여」,『한국어 의미학』, 한국어의미학회,2003.

[12]이희승,『새고등문법』, 서울: 일조각,1957.

[13]최현배,『우리말본』, 서울 : 정음사,1987.

[14]한재영 ,「중 세국어 시제체계에 대한 견해:선어말 어미 ‘더’의 위치정립을 중심으로」,『언어 11』, 한국언어학회,1986.

[15] 손호민,「Retrospection in Korean」,『어학연구 11-1』, 서울대학교,1975.

猜你喜欢
师范学院工程技术吉林
建筑工程渗漏原因及防水防渗工程技术实践
遵义师范学院作品
通化师范学院美术学院作品选登
试析机械工程技术的发展趋势
工程技术研究院简介
A Spring Coat for Sarah
吉林卷
吉林卷
洛阳师范学院
寻找最美校园 牡丹江师范学院